RAM 사양, 메모리 정보 확인 요령 / CPU-Z 한글 다운로드
CPU-Z 한글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모리 (RAM) 정보를 확인해 보는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 나는 분명 5600Mhz 램을 구입한 것 같은데 왜 CPU-Z 에서는 그 절반인 2800Mhz 로 표기되는 것일까요.
CPU-Z 한글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모리 (RAM) 정보를 확인해 보는 요령을 알아보겠습니다. 나는 분명 5600Mhz 램을 구입한 것 같은데 왜 CPU-Z 에서는 그 절반인 2800Mhz 로 표기되는 것일까요.
오늘은 “클러스터”의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파일의 속성을 열어 보면 실제 파일 크기 와 디스크 할당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아니 그냥 파일 크기면 크기지 디스크 할당 크기는 뭘 의미하는 걸까요?
워드 프레스 (wordpress) 라이트 박스 활성화 토글인 “Expand on Click” 버튼을 처음부터 자동으로 활성화해 보겠습니다. 이미지 블록에서 lightbox 옵션을 하나하나 다 켜줘야 하는 불편함에서 벗어나 보세요.
노트북 배터리 수명 확인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하나는 HWiNFO (하드웨어 인포) 라는 하드웨어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체크하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리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에서 삭제되지 않는 복구 파티션을 삭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도의 파티션 매니지먼트 유료 프로그램 없이 윈도우에 내장된 diskpart 프로그램으로 지워지지 않는 디스크 파티션 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에 들어가 보면 하드디스크나 SSD 에 숨겨진 파티션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숨겨진 파티션의 용도는 무엇이고 지워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일 파티션인 “C 드라이브”를 파티션 분할 하여 “D 드라이브”를 추가로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윈도우의 기본 기능인 디스크 관리로 해 보겠습니다.
“edge 웹 브라우저”에서 테마를 다크 모드로 변경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여러분도 눈의 피로가 적은 다크 모드를 사용해 보세요. 장시간 모니터를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필수 입니다.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해서 원격지 PC에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오늘은 별도의 FTP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원격지 PC와 파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nginx 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려고 하면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라는 에러 메세지나 워드프레스에서 “서버에서 예상하지 않은 응답이 있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해결해 보겠습니다.